본문 바로가기

교육혁신

싱대원 예꿈 작은도서관 김조회님과 함께 예꿈도서관에서 김조회선생님과 함께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지인의 소개로 도서관에 오는 아이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싶으신데 방법을 의논하기 위해 청하셔서 만나뵈었습니다. 6년간 자비를 털어서 운영을 하셨답니다. 대단한 일이지요. 성남산성교회에서 공간과 공과금 등을 지원해주신다고 해요. 고맙고 감사한 일이지요. 상대원지역에는 다양한 교육서비스가 필요해보여요.  지역에 필요한 교육서비스가 무엇인지 조사를 하고 나서 종합적인 지원 프로젝트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상대원 교육혁신 프로젝트] 한정된 자원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특정지역(상대원)을 정해서 모델링을 한 후 다른 지역으로 파급시켜가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그동안 인연이 되었던 분들을 모시고 의논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가슴 떨리는 프로젝트가.. 더보기
고양교육협동조합 만들기 모임 #1 지역사회의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가고자 고양교육협동조합 만들기 모임을 시작했습니다. 학부모 스스로 교육문제 해결에 나서 지역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희망을 전해주기 위해서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자신의 자녀뿐아니라 이웃의 자녀들의 교육문제에도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모임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가능한 광범위한 커뮤니티 플랫폼을 만들고 사람들의 창의적인 생각과 노력이 존중되어 개인과 커뮤니티가 균형있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모임으로 성장하리라 생각합니다. 어떤 목적에 의해서 사람들이 꿰맞춰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 의해서 그 질이 결정되는 그런 커뮤니티가 되어야 하겠지요 . 과도한 목적성에 의해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마음들이 다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것이 모든 참석자들의 마음이 아닌가 합니다. 양질.. 더보기
교육협동조합 구성을 제안합니다. 지난해 말 협동조합법이 통과되고 올해말부터 발효가 된다지요. 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개념이 추가되어 다양한 사회적 비지니스나 활동들이 이 사회적 협동조합이라는 흐름으로 정리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동안 교육커뮤니티를 만들고 사람들의 의사를 모아 사회적기업등을 추진해왔지만 이 협동조합법의 출현으로 적절한 형식이 우리앞에 나타나게 되어 한번은 생각을 정리하고 가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교육분야에서 협동조합건설을 제안하는 이유는 1. 그것이 지역사회 커뮤니티에 기반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교육의 문제는 단지 지역적인 것이 아니긴 하지만 구체적인 변화의 행동은 지역사회안에서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2. 공유 소통 개방 협업의 새로운 시대의 가치에 부합하기 때문입니다. 협동조합의 정신안에 공유 소통 개방 협업의 .. 더보기
표준화시험이 가지는 함정 When an adult took standardized tests forced on kids (원문 링크: http://wapo.st/u7T534) 아이들에게 강요되는 표준화 시험을 어른이 보았을 때 This was written by Marion Brady , veteran teacher, administrator, curriculum designer and author. By Marion Brady 미국의 가장 큰 학교 중 한 곳의 이사회에 있는 내 오랜 친구가 어떤 공무원도 하지 않을 법한 일을 했다. 10학년 수학과 읽기 과목의 학업성취도평가(high-stakes standardized math and reading test)를 직접 치렀고 그 점수를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합리적인 기준.. 더보기